빅파일 MSL 201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파일 MSL 2010은 2010년 7월 1일부터 8월 28일까지 진행된 e스포츠 대회이다. 총 32명의 선수가 참여했으며, 스틸 드래프트 방식을 통해 조 지명 및 대진표가 구성되었다. 결승전에서는 이영호가 이제동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빅파일 MSL 2010'영어은 2010년 7월 1일부터 2010년 8월 28일까지 진행되었다. 스폰서 캐치프레이즈는 "깨끗한 승부, 깨끗한 컨텐츠 빅파일"이었다.
빅파일 MSL 2010은 지난 시즌 시드권자 8명과 서바이버 토너먼트를 통해 올라온 24명, 총 32명의 선수로 구성되었다. 조지명식은 프링글스 MSL 시즌 1부터 적용된 스틸 드래프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지만, NATE MSL에서 변경된 방식은 폐지하고 기존 방식으로 돌아가 선수 간 자유로운 조 이동이 가능해졌다.[1] 1번 시드인 이영호는 대진표를 최대 세 번, 2번 시드인 이제동은 최대 두 번 변경할 수 있었으며, 3~8번 시드는 최대 한 번 변경할 수 있었다.[1]
2. 대회 개요
2. 1. 후원
'빅파일'영어의 마케팅 담당자는 "13-30세대의 대표적인 문화콘텐츠인 e스포츠에 대한 후원을 진행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하며, 이번 MSL 공식 후원을 통해 업계 선두주자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브랜드 역량을 강화하는 발판으로 삼고자 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MSL시즌은 온라인 콘텐츠 유통의 선두주자 '빅파일'영어과 e스포츠의 대표리그 MSL과의 만남으로 역대 최대의 리그가 탄생할 것이며 '깨끗한 승부, 깨끗한 콘텐츠' 라는 슬로건에 맞도록 그 어느 시즌보다 내실을 추구하는 리그로 만들겠다"며 포부를 내보였다.[1]
3. 대회 방식
3. 1. 조지명식
빅파일 MSL 2010 조지명식은 프링글스 MSL 시즌 1부터 적용된 스틸 드래프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NATE MSL에서 변경되었던 방식은 폐지하고 기존 방식으로 돌아가, 9~32위 선수들은 시드권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 이동이 가능했다. 32위부터 9위까지의 선수는 원하는 자리에 이름표를 붙이고, 1번 시드인 이영호는 최대 3번, 2번 시드인 이제동은 최대 2번, 3~8번 시드는 최대 1번 대진표를 바꿀 수 있었다.[1]
조지명 순서는 시드권자의 경우 시드권 순위로, 나머지 24명은 MSL 성적, MSL 진출 횟수, MBC게임 개인리그 다승/승률, KeSPA 랭킹을 토대로 결정되었다.[1]
조지명 순서 및 시드별 지명 권한은 다음과 같았다.[1]
| 순위 | 지명 권한 |
|---|---|
| 17~32번 시드 | 빈 자리 중 자신의 자리 선택 |
| 9~16번 시드 | 자신의 상대만 1회 변경 가능 |
| 3~8번 시드 | 대진표를 최대 한 번 변경 가능 |
| 2번 시드 | 대진표를 최대 두 번 변경 가능 |
| 1번 시드 | 대진표를 최대 세 번 변경 가능 |
시드별 선수 목록은 다음과 같다.
4. 대회 일정
5. 상금
총 상금 규모는 1.16억원이었다. 우승 상금은 5000만원, 준우승 상금은 2000만원이었다. 32강에 진출한 모든 선수에게는 차등 지급되었다.
6. 경기장
본선 경기는 문래동 Loox 히어로 센터에서 진행되었고, 결승전은 인천삼산월드체육관에서 개최되었다.
7. 사용 맵
- '''오드아이 3'''(2인용) : NATE MSL 2009부터 사용된 오드아이의 세 번째 수정 버전으로 앞마당 자원과 지형이 수정되었다.
- '''트라이애슬론'''(3인용) : 하나대투증권 MSL 2010부터 사용되었으며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된다.
- 프로리그 맵으로는 '''투혼'''과 '''폴라리스 랩소디'''가 사용된다.
8. 리그 BGM
- 오프닝: Papa Roach - SOS
- 선수 소개: 얼터 브리지 - Metalingus
9. 서바이버 토너먼트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24명이 본선에 진출했다.
10. 스틸드래프트 결과
스틸드래프트 결과, 1번 시드인 이영호는 대진표를 최대 세 번, 2번 시드인 이제동은 대진표를 최대 두 번 변경할 수 있었다. 그 외에 빈 자리 중 자신의 자리를 선택하는 권한, 자신의 상대를 1회 변경할 수 있는 권한, 대진표를 최대 한 번 변경할 수 있는 권한 등이 주어졌다.[1]
11. 32강 결과
32강은 스틸 드래프트 방식으로 지명되었으며,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 1, 2, 3, 4번 시드는 각각 A조, B조, C조, D조에, 5, 6, 7, 8번 시드는 각각 H조, G조, F조, E조에 배정되었다.[1]
| 조 | 1경기 | 2경기 | 승자전 | 패자전 | 최종전 |
|---|---|---|---|---|---|
| A조 | 이영호 (승) vs 김도우 (패) | 김정우 (승) vs 이승석 (패) | 이영호 (패) vs 김정우 (승) | 김도우 (패) vs 이승석 (승) | 이영호 (승) vs 이승석 (패) |
| B조 | 이제동 (승) vs 박수범 (패) | 조병세 (패) vs 신노열 (승) | 이제동 (승) vs 신노열 (패) | 조병세 (승) vs 박수범 (패) | 조병세 (패) vs 신노열 (승) |
| C조 | 김윤환 (패) vs 김택용 (승) | 김성대 (승) vs 신동원 (패) | 김택용 (승) vs 김성대 (패) | 김윤환 (승) vs 신동원 (패) | 김성대 (패) vs 김윤환 (승) |
| D조 | 윤용태 (패) vs 박재혁 (승) | 김상욱 (패) vs 박지수 (승) | 박재혁 (승) vs 박지수 (패) | 윤용태 (승) vs 김상욱 (패) | 윤용태 (패) vs 박지수 (승) |
| E조 | 전상욱 (승) vs 박상우 (패) | 김윤중 (패) vs 우정호 (승) | 전상욱 (패) vs 우정호 (승) | 박상우 (승) vs 김윤중 (패) | 전상욱 (승) vs 박상우 (패) |
| F조 | 정종현 (패) vs 이재호 (승) | 장윤철 (패) vs 김구현 (승) | 이재호 (승) vs 김구현 (패) | 정종현 (승) vs 장윤철 (패) | 정종현 (패) vs 김구현 (승) |
| G조 | 차명환 (패) vs 염보성 (승) | 김명운 (패) vs 김대엽 (승) | 염보성 (패) vs 김대엽 (승) | 차명환 (승) vs 김명운 (패) | 염보성 (승) vs 차명환 (패) |
| H조 | 구성훈 (패) vs 조일장 (승) | 정명훈 (패) vs 허영무 (승) | 조일장 (승) vs 허영무 (패) | 정명훈 (승) vs 구성훈 (패) | 허영무 (패) vs 정명훈 (승) |
12. 16강 ~ 결승 결과
8강부터는 KeSPA 랭킹에 의한 재배치가 이루어졌다. 16강, 8강, 4강, 결승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6강 | 8강 | 4강 | 결승전 |
|---|---|---|---|
| 우정호 0 : 2 이영호 | 이영호 3 : 0 박지수 | 이영호 3 : 2 정명훈 | 이영호 3 : 2 이제동 |
| 조일장 1 : 2 박지수 | rowspan="2"| | rowspan="2"| | rowspan="4"| |
| 김대엽 1 : 2 김윤환 | 김윤환 0 : 3 정명훈 | ||
| 박재혁 0 : 2 정명훈 | rowspan="2"| | 이재호 2 : 3 이제동 | |
| 신노열 1 : 2 이재호 | 이재호 3 : 1 김정우 | ||
| 전상욱 0 : 2 김정우 | rowspan="2"| | rowspan="2"| | |
| 염보성 2 : 0 김택용 | 염보성 1 : 3 이제동 | ||
| 김구현 1 : 2 이제동 |
13. 특이사항
- 16강에서 프로토스가 전멸하였다.
- 윤용태는 10회 연속 MSL 진출로 공로패를 수상하였다.
- 정명훈은 생애 처음으로 MSL 4강에 진출하였다.
- 이재호는 생애 처음으로 개인리그 4강에 진출하였다.
- 이영호와 이제동은 3시즌 연속 MSL 결승에 진출하였다. (리쌍록)
- 이제동은 4시즌 연속 MSL 4강 진출에 성공하였다.
- 결승전 장소가 여의도 공원에서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의 홈 구장)으로 변경되었다.
- 이영호는 8강에서 박지수를 3:0으로, 4강에서 정명훈을 3:2로 꺾고 테란 최강자임을 입증하였다.
- 이영호는 2연속 MSL 우승을 달성하였다.
- 빅파일 MSL은 불법 대회 논란에도 불구하고 결승전을 개최하였다.[1]
- 초대 가수는 걸스데이였다.
14. 대회 결과
'''이영호'''가 우승했고, 이제동이 준우승했으며, 정명훈과 이재호가 3위를 차지했다.
| 선수 | 승 | 패 | 승률 |
|---|---|---|---|
| 정명훈 | 9 | 4 | 69.2% |
| 이재호 | 9 | 5 | 64.3%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